logo
Published on

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-OSI 7계층 3계층 IPv4

Authors
  • avatar
    Name
    Bora Choi
    Twitter

3️⃣ 3계층의 기능

3계층에서 하는 일

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(LAN) 즉, **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(WAN)**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.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

3계층에서 쓰는 주소

WAN에서 통신할때는 IP주소를 사용한다

스크린샷 2021-12-16 08 55 56
  • IPv4 주소 :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
  • 서브넷 마스크 : IP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
  • 기본 게이트웨이 :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

3계층 프로토콜

  • IP 주소를 이용해 MAC주소를 알아오는 ARP프로토콜
ARP 프로토콜 구조
  •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v4 프로토콜
IPv4 프로토콜 구조
  • 서로가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ICMP 프로토콜
ICMP

😀일반적인 IP주소

Classful

초창기에 사용했던 IP주소방식

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클래스에 맞게 나누어져있다 ⇒ 낭비가 심하다

Classful IP주소의 예시

클래스네트워크 구분시작주소마지막주소
A클래스0XXXXXXX,첫번째 필드0.0.0.0127.255.255.255
B클래스10XXXXXX,두번째 필드128.0.0.0191.255.255.255
C클래스110XXXXX,세번째 필드192.0.0.0223.255.255.255
D클래스(멀티캐스트)1110XXXX224.0.0.0239.255.255.255
E클래스(예약)1111XXXX240.0.0.0255.255.255.255

Classless

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준다.

낭비되지 않도록 아껴쓸수있다.

92.168.32.186/26
IP 주소 192.168.32.189
서브넷 마스크 255.255.255.192
네트워크 ID 192.168.32.128
브로드캐스트주소 192.168.32.191
사용가능한 IP 범위 192.168.32.129 ~ 192.168.32.190

사설IP와 공인IP

공인 IP 1개당 2^32개의 사설 IP

공인 IP → 실제 인터넷 통신할때 사용하는 주소

사설 IP →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사용하는 IP주소

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: ip 주소를 특정 ip 주소로 바꿔주는것

실제 인터넷 세상에서는 공인 IP로만 통신하기떄문에 외부 내트워크 대역에서는 사설 IP 대역이 보이지 않는다.

🤔그렇다면 같은 공인 IP내에서 네트워크 통신이 꼬이지 않을까 ?

⇒ 요청을 보낼때 NAT 테이블에 요청 내역을 기록하고 응답이 왔을때 NAT 테이블을 확인하여 대상에게 전달한다.

😯 특수한 IP주소

0.0.0.0

나머지 모든 IP

127.X.X.X

나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

게이트웨이 주소

WAN 통신을 하기 위한 주소

내 IP 주소 알아보기

  1. 네이버에 내 ip 주소 검색 (공인 IP)

    스크린샷 2021-12-16 09 45 15
  2. CMD 창에 아래 명령어 입력 (사설 IP)

    $ ipconfig /all
    
    스크린샷 2021-12-16 09 50 30